Search

(연천) 씨앗도서관에서 발견한 과거

차시
15-16
내용
ㅇ 인사, 지난 시간 일어난 일들 나누기 ㅇ [활동1] 씨앗도서관 2차 활동 면접 - 이끔이는 자신들을 씨앗도서관의 관장과 부관장이라고 소개한 후, 닐바나 돔에 훌륭한 인재가 많아 서류전형(지원서)에서 모두 통과하였음을 알림 - 2차 활동 면접에서는 씨앗도서관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해 주는 사람들을 선발하겠다고 말하며 오래전부터 내려오는 해결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함 - 이를 찾기 위해 단서들을 조합하여 비밀 상자를 열어 오래전부터 내려오는 전설의 주문을 찾아달라고 요청함 - 닐바나 돔 사람들은 노랑팀, 빨간팀, 초록팀 세 개의 팀으로 나뉘어 이끔이가 미리 각 장소에 숨겨둔 단서와 미션 내용을 찾아 해답을 향해 나아감 - 단서를 조합하여 상자를 연 끝에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나무를 통해 과거의 메시지가 도착했다는 사실을 발견함 ㅇ [활동2] 씨앗도서관 직원으로 암호해독 하기   - 사람들은 나무에서 발견한 암호를 해독함 - 암호를 해독한 결과 ‘씨앗의 종자를 구할 방법과 오래 보관할 수 있는 방법’을 묻는 과거의 메시지임을 확인함 - 돔 사람들은 약속대로 씨앗도서관의 직원이 되어 과거에 해답을 알려주기 위해 활동3의 방법들을 통해 씨앗과 식물에 관해 탐구함 ㅇ[활동3] 씨앗에게 필요한 것 - 씨앗도서관 사람들은 시뮬레이션(모바일 게임)을 통해 요정들의 활동을 관찰하고 씨앗을 식물로 성장시키는 과정에서 식물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게 됨 ㅇ 각 팀의 단서 정답 공유하기 - 지구의 날, 탄소 중립, 멸종 위기 식물 등 미션을 수행 하면서 풀었던 문제들을 공유하고 그 정답을 함께 나누기 - 태블릿으로 식물을 키울 때 사용한 앱은 앱 안에서 식물을 키워 정원을 만들면 자신이 설정한 이름으로 실제 나무가 심어지는 기부로 연결되는 앱이라는 것을 알려주기 ㅇ 소감 나누기

씨앗도서관에서 발견한 과거

: 문제를 찾고 풀어가는 활동을 통하여, 기후 위기에 대한 지식을 쌓고 관심을 가질 수 있다. / 시뮬레이션 게임을 통하여 식물에게 필요한 요인을 찾아낼 수 있다.

① 인사, 지난 시간 일어난 일들 나누기

닐바나 돔에서의 하루 돌아보기
닐바나 돔에 닥친 위기 상황 공유하기
씨앗도서관 공고문 내용 확인 및 씨앗도서관으로 이주를 원하는 사람들이 작성한 1차 서류 전형 지원서를 공유하기

② 활동1. 씨앗도서관 2차 활동면접

이끔이는 자신들을 씨앗도서관의 관장과 부관장이라고 소개한 후, 닐바나 돔에 훌륭한 인재가 많아 서류전형(지원서)에서 모두 통과되었다는 소식을 알린다.
2차 활동 면접에서는 씨앗도서관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해 주는 사람들을 선발하겠다고 말하며 오래전부터 내려오는 해결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이를 찾기 위해 단서들을 조합하여 비밀 상자를 열어 오래전부터 내려오는 전설의 주문을 찾아달라고 요청한다.
닐바나 돔 사람들은 노랑팀, 빨간팀, 초록팀 세 개의 팀으로 나뉘어 이끔이가 미리 각 장소에 숨겨둔 단서와 미션 내용을 찾아 해답을 향해 나아간다.
단서를 조합하여 상자를 연 끝에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나무를 통해 과거의 메시지가 도착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교실 사용 시, 단서문제 예시>
노랑팀
단서 및 미션
숨긴 장소
빨간색, 백설 공주, 미안해, 멸종위기 + 책
노란색 바구니 밑
○○은 더운 지방에 자리 잡은 빽빽한 숲 특히 열대우림을 부르는 말이다. ○○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여 지구의 허파 역할을 하지만 최근 무분별한 벌목과 온난화로 인해 ○○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 그림 (힌트 : 아마존, ○○북, ○○짐)
제목에 ‘사과’가 포함 된 책 사이에
우리는 플라스틱과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를 따로 구분하여 버리는 ○○○○을 있다. 하지만 잘못된 방법으로 버리는 경우가 많아 ○○○○한 플라스틱 중 30%만이 재활용 되고 있다. (힌트 : ○○○○함.)
교실 뒤쪽 학생 작품 중 ‘밀림’ 그림 뒤
지구의 날은 ○월 ○○일 이다.
분리배출함 속 보물상자와 함께

③ 활동2. 씨앗도서관 직원으로 암호해독 하기

사람들은 나무에서 발견한 암호를 해독한다.
암호를 해독한 결과 ‘씨앗의 종자를 구할 방법과 오래 보관할 수 있는 방법’을 묻는 과거의 메시지임을 확인한다.
돔 사람들은 약속대로 씨앗도서관의 직원이 되어 과거에 해답을 알려주기 위해 활동3의 방법들을 통해 씨앗과 식물에 대해 탐구한다.

④ 활동3. 씨앗에게 필요한 것

씨앗도서관 사람들은 시뮬레이션(모바일 게임)을 통해 요정들의 활동을 관찰하고 씨앗을 식물로 성장시키는 과정에서 식물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게 된다.
청소 요정 / 물의 요정 / 빛의 요정 / 온도의 요정 / 치유의 요정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한 조건들을 바탕으로 실제 씨앗을 관찰하고 그 정보를 획득하면서 각각의 씨앗이 보관할 때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연구한다.

⑤ 각 팀의 단서 정답 공유하기

지구의 날, 탄소 중립, 멸종위기 식물 등 미션을 수행하면서 풀었던 문제들을 공유하고 그 정답을 함께 나눈다.
태블릿으로 식물을 키울 때 사용한 앱은 앱 안에서 식물을 키워 정원을 만들면 자신이 설정한 이름으로 실제 나무가 심어지는 기부로 연결되는 앱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⑥ 소감 나누기

가장 기억에 남는 활동과 소감은?
과거에서 온 메시지들을 보고 해주고 싶은 조언이 있다면?
가장 기억에 남는 씨앗은 무엇이며, 기억에 남는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