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사방법: 구글폼 설문조사
•
조사내용:
1.
화산에 대하여 알고 있나요?
2.
제주도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알고 있나요?
3.
제주도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알고 있다면 간략하게 그 과정을 적어주세요.
4.
내 상상으로 이야기를 만들어본 경험이 있나요?
5.
어떤 종류의 이야기를 좋아하나요?(판타지, 역사, 과학, 등)
•
조사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화산에 알고 있으며(76%), 대부분의 학생들이 제주도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알고 있음(73%). 학생들은 내 상상으로 이야기를 만들어본 경험이 81.8%있으며, 판타지 종류의 이야기를 45.5% 정도 좋아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남
[1회차]
•
주제 관련 탐구 활동
- 주제 관련 검색 및 독서
- 주제에 맞는 예술교육 방법 협의
- 4학년 교육과정 리터러시
- 4학년 교육과정 중 프로젝트 주제 관련 재구성
[2회차]
•
예술가-교사 간 전문성 공유를 위한 자체 워크숍
- 프로젝트 취지 및 목적, 방향 공유
- 교육 과정 분석 및 재구성안 공유
- 예술 교육 방법 공유
- 역할 분담
[3회차]
•
교육 대상 수요 조사
- 주제 관련 사전 인식 및 학생들 수요 파악
[4회차]
•
프로젝트 수업 모형 협의
- 프로젝트 방향 및 핵심 아이디어 공유
- 프로젝트 모형 및 단계별 관점 협의
[5회차]
•
프로젝트 일정 협의 및 확정
- 예술가 일정 및 학교 행사일 조율, 프로젝트 수업 일정 협의
[6회차]
•
예술가 간 회의
- 회차 간 주강사 및 보조강사 역할 분담
[7회차]
•
교사 간 회의
- 아카이빙 및 학생 관찰, 학생 집중 면담 등 역할 분담
* 학급 내 정서적 어려운 학생이 있는 경우, 관찰 방법 공유
* 성찰 일지 및 학생의 변화를 알아 볼 수 있는 기록 및 아카이빙 방식 협의
[8회차]
•
참여그룹 간 워크숍
- 예술가와 교사 간 이해도 맞추기(예술가: 교육과정 성취기준 확인 / 교사: 예술교육방법에 대한 이해)
- 일정 조정 사항 협의
- 사전 구입해야할 재료 확인 및 구입
[9~10회차]
•
재료 및 서적 구매
[11회차]
•
프로젝트 개발 회의
- 주제 및 수업 일정 최종 확정
- 역할 분담 확정 및 아카이빙 방법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