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뷰자데: 000이 되어>

4
내용
1. 1학기 활동 회상과 활동 소개 - 1학기 활동 이후 변화된 나의 현재 인생좌표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 뷰자데에 대한 개념 안내 (뷰자데: 일상 속 익숙한 00을 처음 본 것처럼 바라보기) - ‘낯설게 보기’위한 준비운동으로 ‘기록과 기억’에 대한 이론 수업 진행 2. 시간여행자(실내: 학교의 다양한 실내공간) - 현재 학교의 공간에 대하여 회상하기 - 회상 속 이야기 한조각의 장소에서 직접 재현하고 영상으로 기록하기 3. 용강 아일랜드에서 라스트 댄스!(야외수업: 교내정원) - 대형 종이배(예술호) 접기 4. 예술호의 항해 - 잔잔한 물결을 가르며 항해하는 예술호 감상하기 - 소망글귀 ‘나’의 상징 탑승시키기 5. 보물은 바로 여기에! - 항해를 마치며 지금까지의 얻은 보물 확인하기 - 1차시에 타임캡슐로 보관된 보물카드도 확인
▣ 뷰자데: 익숙한 00을 낯설게 바라보기
익숙한 주변의 다양한 상황들(사물/동물/타인에 의한)에 대해 역지사지를 통하여 세상을 반대로, 시간을 반대로 돌려보는 활동을 통해 현재의 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세상과 시선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한다.
과거-현재-미래의 세 측면에서 인생을 바라보고 나의 인생 여정을 바라보는 시간을 확장해, 앞으로의 나의 모습을 계획할 수 있다.
0.
‘낯설게 보기’를 위한 준비운동
[탐험 중 ‘기록’과 ‘기억’에 대하여]
① 영상으로 기록한다는 것? 에 대하여 나만의 정의내리기(철학)
: 중2의 시선 VS 어른들의 시선/ 내가 영상을 기록하는 이유? 방법?
: 예술가의 시선: 세상을 바라보는 나만의 렌즈 = 내가 세상을 바라보는 철학
② 기술적인 접근: 촬영에 대한 기초 기술
③ 편집과정
④ 촬영 결과물 공유: 용강예술제(10/5)에서 영상 상영회 발표
[교내 야외 공간 활동 및 촬영 방식에 대한 이동순서 안내 ]
1.
<시간 여행자> : 2인 팀별로 촬영
교내에서의 추억을 떠올려 시간 여행을 할 주제를 각 팀별로 정한다.
시간여행에 관한 이야기를 리마인드 스케치, 장면 연상단어 수집, 스토리보드에 작성 등의 적절한 방식으로 기록해본다.
[학생-학생간 co-picturing] 학생들이 촬영해야 하는 부분(2인 1팀)
나에게 가장 인상 깊은 장소는?
어떤 이야기가 있나요? 추억? 기억? 악몽
시간을 다시 돌려서, 그때 그 모습으로 한 컷 담기
① 촬영 1: 내 첫 기억으로 가는 길까지!
교실에서 출발하면서부터 촬영을 시작하여 의미있는 장소에 도달할때까지 나의 1인칭 시점에서 촬영을 한다. 그 장소가 ‘떠올랐다’, ‘인상깊었다’의 의미는 나의 학교 생활에서 마음을 사로 잡은 장소라는 의미를 가진다.
② 촬영 2: 기억에 도착하다
누가, 언제,(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했는지 중에서 골라서 한 장면을 기록한다.
서로의 이야기를 인터뷰하며 서로 촬영해준다
③ 촬영 후 정원으로 이동한다.
2.
<용강 아일랜드에서 라스트 댄스!>
정원에 준비된 대형 종이로 예술호(배)를 만들어 나의 예술‘호’와 함께 촬영한다.
(웰컴송) 술배 접기 고무줄 놀이!내가 타고 온 배는 어떤 배 인가요?
[예술호 탐험대원의 뱃노래 중]
배는 움직여야 배죠
맛있는 배 아니고, 니 배 아니고, 움직이는 배를 만들어 주세요
꿈에서도 타러 갈게요. 그 배 정말 타고 싶어요!
① 김작가님과 함께 탐험 이야기 기록하기
② 종이배샷 남기기
3.
<예술호의 항해>
예술호는 꿈을 싣고 미래로 또 탐험을 떠난다.
나의 미래에게 보내는 시간 여행 메시지를 종이배에 담아 띄워보낸다(교내 연못)
4.
<보물은 바로 여기에!>
예술호 탐험대 여정을 마치며, 지금까지 얻은 보물들을 함께 확인한다
보물 상자 안에 보물카드, 인생네컷 작품과 와이어 아트, 항해 전 맹세(손도장)를 보고 예술‘호’ 탐험 여정을 마무리한다.
활동1. 시간 여행자
활동3. 예술호의 항해
활동4. 보물은 바로 여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