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경동초) 지구 최후의 날 : 시드볼트 열리다.

차시
29-30
내용
ㅇ 지구 위험신호 감지 - 함께 이부쿠족의 드라마로 들어가기 - 지구 최후의 날이 다가왔다는 위험신호를 감지했다는 말과 함께 우리의 씨앗 저장소와 씨앗들이 안전하게 보관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동할 것을 제안해보기 ㅇ [활동1] 지구 최후의 날 - 씨앗 저장소 속 씨앗이 무사한지 확인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굉음과 함께 빛이 사라지고 지구 최후의 날을 맞게 됨 ㅇ [활동2] 씨앗 저장소에서 살아난 생명들(AR기술 활용) - 깜깜한 공간에 한 줄기 빛이 들어오더니 눈앞에 우리가 그림으로 그려 보관했던 씨앗, 꽃, 식물들이 살아 움직이듯이 날아다님 ㅇ [활동3] 씨앗 저장소 덕분에 달라진 미래 - 씨앗 저장소의 활약으로 다시 생명이 살아나는 미래 또는 사람들이 경각심을 가지고 생명을 소중히 하고 환경을 위해 노력하는 미래 등 미래의 모습을 상상하기 ㅇ [활동4] 시드볼트와 씨앗도서관 - 영상 자료와 이끔이의 설명을 통해 학생들은 시드볼트가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실제의 공간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시드볼트가 왜 필요한지, 어떤 일을 하는지에 대한 정보 얻기 - 이부쿠 족의 ‘이부쿠’가 ‘지구’라는 뜻의 산스크리트어임을 언급하며 우리가 드라마 속에서 살았던 지구의 모습과 현재 지구의 모습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

지구 최후의 날 : 시드볼트 열리다.

: 씨앗도서관과 시드볼트의 존재에 대하여 알고, 그 필요성에 공감할 수 있다.

① 지구 위험신호 감지

함께 이부쿠족의 드라마로 들어간다.
지구 최후의 날이 다가왔다는 위험신호를 감지했다는 말과 함께 우리의 씨앗 저장소와 씨앗들이 안전하게 보관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동할 것을 제안한다.

② 활동1. 지구 최후의 날

씨앗 저장 벙커(AR교실)에 다가갔지만 불이 켜지지 않고 깜깜한 암흑의 상태이다. 부족원들은 함께 조심스럽게 벙커 안에 들어간다. 그 순간 경고음이 울리며 지구 최후의 날이 임박했다는 신호가 들린다.
잠시 후, 커다란 폭발음과 함께 암흑 속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는 상태가 지속된다.

③ 활동2. 씨앗 저장소에서 살아난 생명들

깜깜한 공간에 한 줄기 빛이 들어오더니 눈앞에 우리가 그림으로 그려 보관했던 씨앗, 꽃, 식물들이 살아 움직이듯이 날아다닌다.
우리는 모두 그 장면을 말없이 지켜본다.
시간이 지나 각자의 그림을 찾으면 스크린으로 다가가 만져보거나 경험해 볼 수 있다.

④ 활동3. 씨앗 저장소 덕분에 달라진 미래

씨앗 저장소의 활약으로 다시 생명이 살아나는 미래 또는 사람들이 경각심을 가지고 생명을 소중히 하고 환경을 위해 노력하는 미래 등 미래의 모습을 상상해본다.
모둠별로 모여 상상한 것을 천과 백업을 활용하여 짧은 연극 장면으로 만들어 발표한다.
다른 모둠이 만든 미래가 어떤 모습인지 함께 나눈다.

⑤ 활동4. 시드볼트와 씨앗도서관

모두 학생들로 돌아온다.
영상 자료와 이끔이의 설명을 통해 학생들은 시드볼트가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실제의 공간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시드볼트가 왜 필요한지, 어떤 일을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추가로 씨앗도서관에 대한 정보도 얻는다. 씨앗도서관의 시작과 씨앗 도서관이 하는 일, 씨앗도서관에서 씨앗을 대출하고 반납하는 방법, 서울에서도 찾아갈 수 있는 씨앗도서관이 있다는 정보를 공유한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함께 한 이부쿠 족의 ‘이부쿠’가 ‘지구’라는 뜻의 산스크리트어임을 언급하며 우리가 드라마 속에서 살았던 지구의 모습과 현재 지구의 모습에 관한 이야기를 나눈다.

⑥ 소감 나누기

오늘 활동 중 가장 기억에 남는 활동은?
시드볼트와 씨앗 도서관은 왜 필요할까? 지구의 미래를 위해 있으면 좋을 시설에는 또 어떤 것이 있을까?